본문 바로가기
사진방/꽃과 야생화 사진방

산사과꽃

by 이은하수 2024. 4. 8.

사과나무

장미과 사과나무속에 속하는 몇몇 소교목류. 아시아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식물이 자라는 모습이 아름답고, 또 봄에 피는 꽃과 열매가 보기에 좋아 널리 심고 있다.

꽃은 이른 봄에 피며, 열매는 작고 맛은 새콤한데, 젤리·통조림·사과주로 가공해 먹는다.

한국에는 야광나무·아그배나무가 산과 들에서 자라며, 외국에서 들어온 서부해당과 꽃사과를 널리 심고 있다.
비슷한 종류인 서부해당화(학명 Malus halliana)와 꽃아그배나무(학명 Malus froribunda)를 포함하여

한꺼번에 ‘꽃사과’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들 셋은 비슷비슷한 나무지만 조금씩 차이가 있다.

서부해당화는 중국 원산이며 현재도 널리 심고 있는 꽃나무 중 하나다.

꽃봉오리는 붉은빛이지만 꽃이 완전히 피고 나면 연분홍색이 되고, 열매는 꽃사과나무보다 작다.

꽃아그배나무는 일본에서 개량한 품종으로 보이며, 에도시대 말기인 19세기 중엽 유럽에 전해져

지금까지도 인기를 누리고 있다. 꽃봉오리는 붉은색이 강하고, 꽃잎이 벌어지면 분홍색이었다가

꽃이 완전히 피면 거의 백색이 된다. 열매는 붉은 열매보다 노란 열매가 더 흔히 열린다.

셋 중에 가장 꽃이 아름답고 특히 분홍빛이 강하다.
그러나 이들 셋은 서로 구분이 어렵고 상호간, 혹은 야광나무나 아그배나무와

수많은 교잡종이 있어서 특징을 딱히 나누어 말하기는 어렵다.

전문가가 아니면 세 가지 모두를 꽃사과나무로 알고 있어도 크게 문제될 것이 없을 것 같다.

열매인 꽃사과는 과당, 포도당, 주석산, 비타민 C가 풍부하여 건강유지, 피로회복, 변비 등에 좋다.

말린 꽃사과를 한방에서는 산사자라고 하여 건위와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산결핍·과다증에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육류를 요리할 때 고기를 부드럽고 연하기 하기 위한 연육제로 사용한다.

과즙은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다. 꽃사과로 담근 술(산사자주)은 피로회복,

식욕증진, 신경과민, 불면증 등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다.

 

산사과꽃도 여러 가지가 있네요^^

너무 예뻐서 한 컷!

 

꽃말 : 유일한 사랑

'사진방 > 꽃과 야생화 사진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이슬아치(산앵두)  (0) 2024.04.13
자화부추(향기별꽃)  (4) 2024.04.12
애기 산사과꽃  (4) 2024.04.08
덩굴 딸기꽃  (0) 2024.04.07
양지꽃  (3) 2024.04.07